2024 프로야구 한화이글스와 KIA타이거즈의 시범경기가 12일 오후 대전 한화생명이글스파크에서 열렸다. 선발등판한 류현진 뒤로 피치클록 전광판이 보이고 있다. 대전=김민규 기자 mgkim1@edaily.co.kr
시범 적용 기간을 늘릴 만 했다. KBO리그 개막 2연전에서 피치 클록 위반 사례가 100건 가까이 쏟아졌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25일 지난 23~24일 열린 2024 KBO리그 정규시즌 개막 2연전 9경기(24일 광주 KIA 타이거즈-키움 히어로즈전 우천 취소)에서 총 96회(23일 개막전 46회) 피치 클록 위반 사례가 나왔다고 전했다. 96호 중 투수가 62회로 가장 많았고, 타자는 33회를 기록했다. 포수도 1회가 나왔다.
피치 클록 취지에 가장 맞게 던진 건 KT 위즈였다. KT는 유일하게 두 경기 동안 단 한 차례도 위반하지 않고 경기를 소화했다. KT의 상대였던 삼성 라이온즈도 첫 경기에서만 2회 나왔을 뿐 2차전에서는 단 한 번도 피치 클록을 넘기지 않았다. 두 팀의 맞대결이 가장 '스피드 업'했던 셈이다.
가장 많이 위반한 건 롯데 자이언츠다. 30회로 위반 사례가 가장 많았다. 롯데의 뒤를 이어 SSG 랜더스가 24회를 기록했다. 이밖에 한화 이글스가 13회, 두산 베어스가 10회로 두 자릿수를 기록했고 NC 다이노스(8회) LG 트윈스(6회) 삼성과 키움(2회)이 뒤를 이었다. KIA는 1회만 위반했다.
피치 클록 규정에 따르면 투수는 누상에 주자가 있을 때 23초, 없을 때 18초 안에 공을 던져야 한다. 포수는 피치 클록의 잔여 시간이 9초가 남은 시점에서 포수석에 위치해야 한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볼 1개가 적립된다.
10일 오후 수원 KT위즈파크에서 열린 지난해 통합 우승팀 LG와 준우승팀 KT의 프로야구 시범경기. 배정대타격뒤 피치클락 수원=정시종 기자 capa@edaily.co.kr
타자는 피치 클록 내 8초가 표기된 시점까지 타격 준비를 마쳐야 하고, 위반할 경우 스트라이크 1개가 올라간다.
다만 정식 적용은 아니다. 당초 KBO는 선수들의 적응을 고려해 전반기는 시험 적용하고, 후반기부터 피치 클록 규정을 정식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시범 운영 동안은 심판진이 규칙 위반에 대해 타격 완료 후 약식으로 진행 중이다. 하지만 시범경기동안 피치 클록에 대한 불편함이 선수, 감독을 통해 나타났고, 결국 KBO는 정식 도입을 2025시즌으로 미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