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가 만든 북극항로 시대 대응 방안 마련해야"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기후위기가 만든 북극항로 시대 대응 방안 마련해야"

한라일보 2025-03-24 18:12:06 신고

3줄요약


[한라일보] 기후위기가 북극 해빙을 가속화하면서 북극 바닷길 개척도 빨라질 수 있다는 전망 속에 지역별 북극 항로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4일 국회 도서관 소회의실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해양수산특별위원회(위원장 문대림)가 주최한 '북극항로 시대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북극 항로는 물류 경로가 기존 수에즈운하 항로 대비 약 7000km 단축되는 효과가 예상돼 글로벌 공급망, 지역 경제에까지 지각변동이 예상되고 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이날 축사를 통해 "국제 분쟁으로 인해 해상 항로의 불안전성이 증가하고 있고, 지구 온난화의 가속으로 해빙과 함께 북극의 바닷길이 열리고 있다"며 "이를 활용하는 북극항로 계획이 점차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북극항로, 위기를 기회로'라는 주제로 발제에 나선 김태유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는 "북극항로는 대한민국의 미래 운명을 결정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라며 북극항로가 새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북극항로 진출을 위해서 가장 먼저해야 할 것은 한국·미국·러시아의 합종"이라며 "러시아는 한국의 지정학적 운명을 극복할 파트너이며, 러시아의 에너지는 한국 미래산업의 자양분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수범 고려대 법학연구원 원외연구위원은 '북극항로 주도권 경쟁과 과제'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국가 차원의 북극전략 조정기구 신설과 지역별 대응 방안 수립 필요성을 제시했다.

최 연구위원은 "'팀 코리아' 전략을 도입해 지역별 강점과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북극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예를 들어 부산은 컨테이너 환적 허브, 울산은 친환경 에너지 중심 산업 클러스터, 포항은 북극해운정보 연구클러스터 거점으로 육성하면 국가 차원의 효율성과 경쟁력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날 토론에서 북극 항로 거점 항만으로 제주는 언급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제주특별자치도는 러시아와 실질적 교류협력 확대 모색에 나서는 등 북극항로 개척을 위한 발빠른 행보를 보여 주목된다.

이날 토론회를 주최한 문대림 민주당 해양수산특위위원장은 "북극항로 문제는 지자체 차원을 넘어서 국가 차원 정책과제로 다뤄야 한다"며 "차기 정부의 국가적 예산과 제도로 뒷받침 할 수 있는 당의 정책 공약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Copyright ⓒ 한라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