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1일 서울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에서 이를 위한 NEP 인증제도 개편방안 간담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국표원은 우수 중견·중소기업의 신기술·신제품 개발을 독려하고자 매년 우수 신기술(NET)·신제품(NEP)을 인증해주고 2~3년간 정부나 지자체 발주 조달사업 입찰 때 가점을 부여하는 등 혜택을 주고 있다. 2006년 시행 이래 총 1311개 제품이 NEP 인증을 받아 정부로부터 초기 판로 확보를 지원받았다.
그러나 20년 남짓 시행 과정에서 NEP 인증 제품이 내수용에 치중했다는 한계도 확인됐다. 주된 혜택이 공공 조달 때의 가점이다 보니 신청 기업 자체가 내수기업 위주일 수밖에 없다. 제도 도입 취지가 100% 실현되려면 좋은 제품이 정부 지원으로 초기 판로를 확보한 후 해외시장 진출로도 이어져야 하는데, 현 제도로는 이 같은 선순환이 어렵기에 제도 개선에 나선 것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국표원 외에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산업연구원 등 관련 기관과 이랑텍·큐리오시스 등 인증 유경험 기업 관계자가 모여 제도 개선방안을 논의했다. NEP 인증 평가 때부터 수출 가능성이 큰 제품에 인센티브를 줄 수 있도록 평가 지표를 개편하는 등의 제안도 나왔다.
국표원은 이날 간담회를 시작으로 업계·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한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와 신제품인증협회도 홈페이지를 통해 기업 의견을 수렴해 국표원과 이를 논의할 계획이다. 전응길 국표원 적합성정책국장은 “통상전쟁 심화와 함께 제품·기술 경쟁력이 더 중요해진 상황”이라며 “NEP 인증제도의 글로벌화를 통해 우리 기업의 경쟁력을 더 높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